USB Windows XP 설치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keyword=xp&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3051
안됨 – /BOOT/BCD 어쩌고

http://blog.naver.com/lvis?Redirect=Log&logNo=10036988219&vid=0
안됨 – Disk error 어쩌고 저쩌고

http://www.usboffice.kr
 – http://www.usboffice.kr/zbxe/275520
  – http://blog.daum.net/idrlee/16100073
 – http://usboffice.kr/zbxe/use_boot/481399/page/3

http://www.msfn.org/board/install-usb-winsetupfromusb-gui-t120444.html

http://nofate.tistory.com/455

NETBOOT로 선회
 http://www.cyworld.com/hyunweb/2811496
성공 – 결국 관건은 C: 에 부팅할 수 있도록 Windows 98 부팅 디스크를 심고, D: 에 I386 폴더를 복사해서 I386 아래의 WINNT 를 실행하는 것이었다. 실행 후 파티션 작업 역시 다시 할 수 있는 듯 하다.

USB 부트
http://blog.naver.com/baljern/140097762413
성공 – diskpart 에서 “create partition primary size=200000 (200기가)”
cmd 에서 “format c: /fs:ntfs /q/u” 로 NTFS 포멧
cmd 에서 x:\i386> “winnt32.exe /syspart:c /tempdrive:c”

MBR 이상인 경우 MBR write 툴도 함께 있음.

[PPT] 파워포인트 동영상 삽입 시 동영상이 안나올 경우

파워포인트 문서를 작성할 시에 동영상을 삽입해서 나오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럴 때 동영상 재생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큰 문제!

문제의 원인은 소리만 나거나 영상만 나온다면 코덱 문제일 수도 있고, 하드웨어 가속이 문제인 경우도 있다.

하드웨어 가속인 경우에는 당연히 하드웨어 가속을 없애주면 된다.

바탕화면에서 우클릭 / “속성(P)” / “설정” 탭 선택 / “고급” 버튼 클릭 / “문제 해결” 탭 선택 후 다음과 같이 “최대”로 되어있는 하드웨어 가속을 없애준다.


그리고 재생해보자! 잘 나오나? ㅎㅎ

참고 : ppt에서 동영상 재생안되는 경우

Windows 탐색기에서 원하는 폴더에서 시작하는 명령 프롬프트 열기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열기(“프로그램” / “실행” / regedit)
  2.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Folder\shell 에서 “shell” 에 대고 마우스 우클릭 후 “새로 만들기(N)” / “키(K)”
  3. “CmdHere” 같은 식으로 넣기
  4. 만들어진 “CmdHere” 을 누르고 오른쪽 창 기본값에 “명령 프롬프트(&Y)” 를 입력
  5. 만들어진 “CmdHere”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새로 만들기(N)” / “키(K)”
  6. “command” 입력
  7. 만들어진 “command” 를 누르고 오른쪽 창 기본값에 다음 입력
cmd.exe /d cd \”%1″


8. 탐색기에서 폴더에 대고 우클릭하면 “명령 프롬프트(Y)” 가 나타남.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 아래도 동일하게 넣는다.

Windows XP 디스크 정리 해제

램디스크 쓰는데 자꾸 디스크 정리 하란다.. 디스크 정리 옵션을 아예 꺼버리자.

1. regedit
2.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3.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DWORD 값
4. “NoLowDiskSpaceChecks” 입력
5. 만들어진 항목에 더블클릭 후 “값 데이터”에 “1”

참고 : “디스크 공간 부족 메세지”를 끄는 방법 (win XP)

원격 데스크톱 연결 – XP3 에서 윈도우즈 키 안먹힐 때..

윈도우즈 XP SP3로 오면서 Remote Desktop Connection tool(RDP Client)인 mstsc가 Ver. 6.0.6001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몇 가지 변경이 있다.

1. /console 옵션 대신 /admin 옵션을 사용한다는 것
2. 원격 접속된 컴퓨터에서의 Windows-key나 Alt-key 조합이 먹지 않는 것

1 번은 그렇다쳐도 2 번은 정말 불편하다-_-

업그레이드된 버전으로 어떻게 안되나 많이 시도해보았지만 결론은 안되는 듯 하다.
이를 위해 기존 5.2 클라이언트를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검색해보았더니 프리웨어로 TSplus Portable RDP 5.2 client가 있다. 이를 이용해서 사용하면 된다.

IP 변경 유틸리티 – Shock IP Changer

IP 변경이 잦을 때 필요한 유틸리티
프리웨어로 개인/기업 라이센스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다.
제작사 홈페이지에 가면 이외에도 여러 프리웨어들을 볼 수 있다.
종류가 대단히 많아보인다.
개인제작자라면 정말 대단하다.

참고 : 가끔은 아주 유용한 IP 변경 관리 유틸리티 Shock IP Changer by 돌이아빠

DOS/Windows 프롬프트 환경에서의 Start 명령

DOS/Windows 환경의 배치파일(.bat)에서 여러 명령을 한꺼번에 수행하고 싶을 때 start란 명령을 사용한다고 한다.
도움말에서 나오는 소개는 “지정된 프로그램이나 명령을 별도의 창에서 시작합니다.” 라고 되어 있다.

start 명령에 대한 도움말은 /? 옵션을 통해 볼 수 있다.

실행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다

START [“제목”] [/D경로] [/I] [/MIN] [/MAX] [/SEPARATE | /SHARED]
      [/LOW | /NORMAL | /HIGH | /REALTIME | /ABOVENORMAL | /BELOWNORMAL]
      [/WAIT] [/B] [명령어/프로그램]
      [매개 변수]


많이 쓰이는 것으로 보이는 몇가지 옵션을 정리하자면

/D 시작 디렉토리 지정
/B 새 창을 만들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 시작

예제

start /D”D:\Source” cmd

배치 파일에서 사용하면 여러 동작을 순차적이 아닌 한번에 시작할 수 있다.

참고 : 윈도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한 번에 실행시키는 팁 – 운명과시간의신

윈도우 공유폴더 다른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출처] 윈도우 공유폴더 다른계정으로 로그인하기|작성자 미네르바

 윈도우 공유폴더를 “암호 저장”으로 접근할 경우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하기 꽤 까다로운 것 같다. 간단한 방법을 예전에 알았던 듯 한데 기억이 나질 않는다.
 암호 저장 외에 공유 폴더를 다른 도메인으로 접근하고 싶을 때도 이 방법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방법을 살펴보자.

 1. 기존 연결 보기 및 상태 저장

net use

 2. 기존 연결 끊기

net use <공유경로(e.g.\\192.168.0.1\IPC$)> /delete

 3. 새로운 연결 만들기

net use <공유경로(e.g.\\192.168.0.1\IPC$)> * /user:<도메인을 포함한 사용자이름(e.g.DOMAIN\USER)>


Outlook2007 에서 첨부된 EXE 파일 저장

1. Regedit 실행
2. \HEK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ffice\12.0\Outlook\Security 에 “문자열값” 으로 “Level1Remove” 새로 만들기
3. 값에 “exe” 다른 것을 추가하고 싶다면 ‘;’ 으로 구분
 
출처 : http://inos.tistory.com/69 & 네이버 지식iN

Virtual PC의 Host와 VM간의 네트워킹을 위해…

Virtual PC 2007과 같은 가상화 소프트웨어에서 물리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Microsoft loopback adapter를 사용하면 된다.
Microsoft loopback adpater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Host 컴퓨터에서..
1) 제어판 / 새 하드웨어 추가
2) “예, 하드웨어를 이미 연결했습니다.”
3) “설치된 하드웨어” 목록에서 가장 아래의 “새 하드웨어 장치 추가”
4) “목록에서 직접 선택한 하드웨어 설치(고급)”
5) “일반 하드웨어 종류” 목록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6) “제조업체” 목록에서 “Microsoft” /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Microsoft Loopback Adapter”
7) 추가된 Microsoft Loopback Adapter의 로컬 연결 영역의 TCP/IP 주소를 Static으로 임의 주소 설정(192.168.x.x)

VM 에서..
1) 셋팅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Microsoft Loopback Adapter 로 설정 후 Static으로 임의 주소 설정(192.168.x.y)

이렇게 하면 둘 사이의 네트워킹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다. 안된다면 방화벽 설정을 확인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