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설치
[SpringBoot] Springboot CLI 설치
brew tap spring-io/tap
brew install spring-boot
springboot 로 bcrypt 패스워드 인코딩을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spring encodepassword super1234!!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cli.html 를 참고.
[node.js] npm이 사용하는 폴더 구조
원문: https://docs.npmjs.com/cli/v8/configuring-npm/folders
번역: 양정석 (dasomoli@gmailREMOVETHIS.com)
설명
npm은 여러분의 컴퓨터 상에 다양한 것들을 둡니다. 이게 그게 하는 일이예요.
이 문서는 이게 어디에 무엇을 두는지 설명합니다.
요약
- 로컬 설치 (기본): 현재 패키지의 루트 디렉토리의
./node_modules
에 설치 - 글로벌 설치 (-g 옵션):
/usr/local
또는 노드가 설치된 곳에 설치 require()
를 한다면 로컬에 설치- 커맨드 라인에서 실행한다면 글로벌 설치
- 로컬과 글로벌 둘 다 필요하다면 양쪽 모두에 설치하거나
npm link
를 사용
prefix 설정
기본 prefix
설정은 노드가 설치된 곳입니다. 대부분 /usr/local
입니다. 윈도우즈에서는 %AppData%\npm
입니다. {prefix}/node.exe
가 아니라 {prefix}/bin/node
에 보통 설치되므로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한 레벨 더 들어갑니다.
global
플래그가 설정되면, npm은 이 prefix 내에 설치합니다. 설정되지 않았다면, 패키지 내에 없으면 현재 패키지 또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루트 디렉토리를 사용합니다.
노드 모듈
패키지들은 prefix
아래의 node_modules
폴더 내에 들어갑니다. 로컬에 설치될 때, 이는 main 모듈을 로드하기 위해 여러분이 require("packagename")
을 사용하거나 다른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 require("packagename/lib/path/to/sub/module")
을 사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유닉스 시스템 상에서의 글로벌 설치는 {prefix}/lib/node_modules
로 진행됩니다. 윈도우즈 상에서 글로벌 설치는 {prefix}/node_modules
로 진행(즉, lib
가 없음)됩니다.
범위가 지정된 패키지들은 @ 기호가 붙는 범위 prefix의 이름과 연관된 node_modules
폴더의 하위 폴더 내에 함께 그룹지어지는 것을 빼면 같은 방식으로 설치됩니다. 예를 들어, npm install @myorg/package
는 그 패키지를 {prefix}/node_modules/@myorg/package
내에 설치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scope을 참고하세요.
패키지를 require()
하길 원한다면, 로컬에 설치하세요.
실행 파일
글로벌 모드에서 유닉스 상에서는 {prefix}/bin
, 윈도우즈 상에서는 {prefix}
에 직접 실행 파일이 링크됩니다. 여러분의 터미널의 PATH 환경 변수에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이 경로가 들어가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로컬 모드에서 실행파일은 ./node_modules/.bin
내에 링크되기 때문에 npm을 통해 스크립트 실행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npm test
를 실행할 때 그 경로 내에 테스트 러너가 있을 겁니다)
Man Pages
글로벌 모드에서 man page는 {prefix}/share/man
내로 링크됩니다.
로컬 모드에서는 man page는 설치되지 않습니다.
Man page는 윈도우즈 시스템 상에서 설치되지 않습니다.
캐시
npm cache를 보세요. 캐시 파일들은 Posix 상에서는 ~/.npm
내에, 윈도우즈 상에서는 %AppData%/npm-cache
내에 저장됩니다.
이는 cache
설정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됩니다.
임시 파일
임시 파일은 기본 값인 TMPDIR, TMP, TEMP 환경변수, 또는 유닉스 상에서 /tmp
나 윈도우즈 상에서 c:\windows\temp
인 tmp
설정으로 지정된 폴더 내에 저장됩니다.
임시 파일들은 이 루트 디렉토리 안에 프로그램의 각각의 실행에 대한 유일한 폴더가 지정되고, 성공적으로 끝나면 지워집니다.
더 자세한 정보
로컬 설치 시에 npm은 먼저 적절한 prefix
폴더를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이는 그래서 npm install foo@1.2.3
은 여러분이 다른 폴더로 cd를 이용해서 이동했었다 하더라도 여러분의 패키지의 합리적인 루트 디렉토리에 설치할 겁니다.
$PWD에서 시작해서 npm은 package.json
파일 아니면 node_modules
폴더를 갖는 폴더를 확인하면서 탐색합니다. 그런 것을 찾으면 npm 명령을 실행하는 목적에 맞는 실제적인 “현재 디렉토리”로 취급합니다. (이 동작은 git의 작업 디렉토리 내에서 git 명령을 실행했을 때 .git 폴더를 찾는 로직에서 영감을 받아 비슷합니다).
아무 패키지 루트도 찾지 못했다면, 현재 폴더가 사용됩니다.
npm install foo@1.2.3
을 실행하면, 그 패키지는 캐시 내에 로드된 후, ./node_modules/foo
내에 풀게 됩니다. 그 후 foo의 디펜던시들은 비슷하게 ./node_modules/foo/node_modules/...
에 풀게 됩니다.
./node_modules/.bin
에 심볼릭 링크된 바이너리 파일들은 npm 스크립트가 필요할 때 찾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설치
global
설정이 true로 설정되면, npm은 “글로벌”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글로벌 설치에서 패키지들은 위에서 설명된 폴더를 사용해서 거의 같은 방식으로 설치됩니다.
순환, 충돌, 그리고 폴더의 중복 제거
순환은 node_modules
폴더를 찾는 디렉토리를 탐색하는 노드의 모듈 시스템 속성을 사용해서 처리됩니다.모든 단계에서 어느 패키지가 이미 그 상위의 node_modules
폴더에 설치되어 있다면 현재 위치에는 설치하지 않습니다.
foo -> bar -> baz
에서 위의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baz가 bar에 의존한다고 상상해보면, foo -> bar -> baz -> bar -> baz ...
가 될 겁니다. 그러나 폴더 구조가 foo/node_modules/bar/node_modules/baz
가 되기 때문에 require("bar")
를 부르면, foo/node_modules/bar
내에 설치된 복사본을 얻을 것이므로 bar의 다른 복사본을 .../baz/node_modules
내에 둘 필요가 없습니다.
이 손쉬운 방법은 정확히 같은 버전이 중첩된 node_modules 폴더 내에 설치되었을 때만 사용됩니다. 두 “a” 패키지가 다른 버전이라면 a/node_modules/b/node_modules/a
가 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합니다. 그러나 정확히 같은 패키지를 여러번 반복하는 일 없이 무한 회귀는 언제나 방지됩니다.
다른 최적화는 아래의 로컬라이즈된 “target” 폴더 아래에 가능한 한 가장 높은 레벨에 의존 모듈들을 설치해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제
이런 의존 그래프를 생각해보죠.
foo
+-- blerg@1.2.5
+-- bar@1.2.3
| +-- blerg@1.x (latest=1.3.7)
| +-- baz@2.x
| | `-- quux@3.x
| | `-- bar@1.2.3 (순환)
| `-- asdf@*
`-- baz@1.2.3
`-- quux@3.x
`-- bar
이 경우, 우리는 다음과 같은 폴더 구조를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foo
+-- node_modules
+-- blerg (1.2.5) <---[A]
+-- bar (1.2.3) <---[B]
| `-- node_modules
| +-- baz (2.0.2) <---[C]
| | `-- node_modules
| | `-- quux (3.2.0)
| `-- asdf (2.3.4)
`-- baz (1.2.3) <---[D]
`-- node_modules
`-- quux (3.2.0) <---[E]
foo가 bar@1.2.3
와 baz@1.2.3
에 직접 의존하므로, 이들은 foo의 node_modules
폴더 내에 설치됩니다.
blerg의 최신본이 1.3.7임에도 불구하고, foo는 1.2.5 버전으로 지정된 의존을 갖습니다. 그래서 이는 [A]에 설치됩니다. blerg의 상위 설치가 bar의 blerg@1.x
의존을 만족하므로, [B] 아래에 다른 복사본을 설치하지 않습니다.
bar [B] 또한 baz와 asdf에 의존을 갖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bar의 node_modules
폴더에 설치됩니다. 이게 baz@2.x
에 의존하므로 그 상위의 node_modules
폴더 [D] 에 설치된 baz@1.2.3
을 재사용할 수는 없고, 그 자신의 복사본 [C]를 설치해야만 합니다.
bar 아래에 baz -> quux -> bar
의존은 순환을 만듭니다. 그러나 bar가 이미 quux의 조상 [B] 이므로, 그 폴더 내에 bar의 다른 복사본을 풀지 않습니다.
foo -> baz
[D] 아래에, quux의 [E] 폴더 트리는 비게 됩니다. bar 상의 그 의존이 [B] 에 설치된 상위 폴더 복사본에 의해 만족되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어디에 설치되는지의 그래프 분석은 npm ls
를 사용하세요.
퍼블리싱
퍼블리싱 상에서 npm은 node_modules
폴더 안을 들여다 봅니다. 항목 들 중 어느 것도 bundledDependencies 배열에 들어있지 않으면, 그들은 패키지 tarball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겁니다.
이는 패키지 메인테이너가 그들의 의존 모두를 로컬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지만, 다른 곳에서 찾을 수 없는 이들 항목만 다시 퍼블리싱 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package.json을 보세요.
더 읽을 거리
[node.js] node.js 설치는 nvm으로
node.js 설치를 위해서 nodejs.org의 다운로드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지만(이런 방식을 Node installer라고 한다), nvm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nvm은 node version manager의 약자로, node 버전을 필요에 따라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다. nvm의 설치는 https://github.com/nvm-sh/nvm#installing-and-updating를 참고하자.
nvm을 설치하고 나면 이 nvm을 통해 node.js의 특정 버전을 설치하면 된다. 현재 기준 LTS인 16을 설치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 nvm install 16
그러면 해당 버전의 node.js와 함께 npm이 설치된다. npm은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이다.
최신 LTS 버전을 설치하고 싶을 때는 그냥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nvm install --lts
최신 npm을 다운로드하고 싶을 때는 npm 그 자체를 이용한다.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npm install --location=global npm
yarn 을 사용하고 싶다면 그냥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corepack enable
[Mac] 초기 마우스/키보드 설정
마우스
마우스 스크롤 방향 바꾸기
- “시스템 환경설정” / “마우스” / “스크롤 방향: 자연스럽게” 체크 해제
Logitech Options 설치 (Logitech MX Master 2s, MX Vertical, Craft 키보드 사용 시)
키보드
키보드 지연 시간 설정
- “시스템 환경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 “키 반복”을 가장 오른쪽 “빠르게”
- “반복 지연 시간”을 가장 오른쪽 “짧게”
Karabiner-Element 설치
- Karabiner-Element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
- “시스템 환경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개인 정보 보호” / “입력 모니터링”에 karabiner_grabber와 karabiner_observer 둘 모두 체크
Caps Lock으로 한영 전환 시 지연 없애기
- “Karabiner Element Preferences” / “Simple Modifications” / “For all devices” 에서 “Add Item”, 왼쪽 “—-” 를 누른 후, “Modifier keys” / “caps_lock”, 오른쪽 “—-” 를 누른 후, “To key”에 “Function keys” / “f19”
- “시스템 환경 설정” / “키보드” / “단축키” / “입력 소스”에서 “입력 메뉴에서 다음 소스 선택”의 오른쪽에 있는 단축키를 선택하고 Caps Lock 키를 눌러 “F19″로 설정.
외부 키보드 사용 시 Command 키와 Option 키 바꾸기
- “Karabiner Element Preferences” / “Simple Modifications” 에서 외부 키보드, 예를 들면 “REALFORCE_1 (Topre Coperation)” 을 선택
- “From key”에 “Modifier keys” / “left_option”, “To key”에 “Modifier keys” / “left_command”
- “From key”에 “Modifier keys” / “left_command”, “To key”에 “Modifier keys” / “left_option”
외부 키보드 사용 시 오른쪽 Alt(Option)키를 한영 전환키로 바꾸기
- “Karabiner Element Preferences” / “Simple Modifications” 에서 외부 키보드, 예를 들면 “REALFORCE_1 (Topre Coperation)” 을 선택
- “From key”에 “Modifier keys” / “right_option”, “To key”에 “Function keys” / “f19”
외부 키보드에 한영키가 있는 경우
- “Karabiner Element Preferences” / “Simple Modifications” 에서 외부 키보드, 예를 들면 “REALFORCE_1 (Topre Coperation)” 을 선택
- “From key”에 “International keys” / “lang1”, “To key”에 “Function keys” / “f19”
PC-Style Home / End 키 동작
- “Karabiner Element Preferences” / “Complex Modifications” / “Add rule”을 선택
- “Import more rules from the Internet (Open a web browser)”
- “pc style Shortcuts”를 입력
- “PC-Style Shortcuts”의 오른쪽 “Import” 버튼을 누른 후 “Import”
- 추가된 “PC-Style Shortcuts”의 rule 중 “Home key to the beginning of the line (Control + a)” 옆 “+ Enable”
- 추가된 “PC-Style Shortcuts”의 rule 중 “End key to the end of the line (Control + e)” 옆 “+ Enable”
- 추가된 “PC-Style Shortcuts”의 rule 중 “Home key to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Command + Left). Doesnt work in terminal” 옆 “+ Enable”
- 추가된 “PC-Style Shortcuts”의 rule 중 “End key to the end of the sentence (Command + Right). Doesnt work in terminal” 옆 “+ Enable”
- 추가된 “PC-Style Shortcuts”의 rule 중 “PC-Style Home/End” 옆 “+ Enable”
- 위의 Enable 순서가 바뀌지 않도록 한다.
[Ubuntu] 20.04에서 Jenkins 설치하기
1. java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java -version) 후 없으면 open-jdk 설치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2. repository 키 추가
wget -q -O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key | sudo apt-key add -
3. sources.list 에 추가
sudo sh -c 'echo deb http://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4. jenkins를 apt-get 으로 설치
sudo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jenkins
5. Jenkins 시작
sudo systemctl start jenkins
6. 혹시 방화벽 있으면 열기
sudo ufw allow 8080
7. http://IP:8080 으로 Jenkins 최초 접속. Administrator password는 아래에서 얻는다.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그 다음은 그냥 쭉쭉 진행! 생략…
참고: https://www.digitalocean.com/community/tutorials/how-to-install-jenkins-on-ubuntu-20-04
[MySQL] phpmyadmin 설치
raspberry pi에서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 apt-get install phpmyadmin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접속하게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
# vi /etc/apache2/conf-enabled/phpmyadmin.conf
아래처럼 Require ip 구문을 추가한다. “::1” 은 local interface, 즉 127.0.0.1과 같다. “192.168.0” 은 192.168.0.x 대역을 말한다.
<Directory /usr/share/phpmyadmin>
Options SymLinksIfOwnerMatch
DirectoryIndex index.php
Require ip 192.168.0
Require ip ::1
apache2를 reload한다.
# systemctl reload apache2
[WordPress] WordPress를 다른 서버로 이전하기
기존에 쓰던 Raspberry pi 3의 OS 버전 업그레이드를 게을리 했더니 해당 버전이 php5까지만 지원해서 그런가 자꾸 누가 들어온다;; 근래 설치했던 php7을 지원하는 Raspberry pi 4 4GB 모델로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이전한다.
워드프레스 컨텐츠 내보내기
wordpress 내보내기 도구로 모든 컨텐츠 내보내기
먼저, 기존 워드프레스에서 wordpress 내보내기 도구를 이용해 모든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 “대시보드” > “도구” > “내보내기” > “모든 컨텐츠” 선택 후 “내보내기 파일 다운로드”
내보낸 파일에서 site 경로 수정하기 (optional)
여기서 내가 예전에 했던 일로 나만 적용되는 게 있는데, 맨 처음에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전할 때 블로그 도메인 이름을 wp.dasomoli.org로 썼던 적이 있다. 그래서 모든 그 때 이전했던 글들 안의 이미지 경로가 wp.dasomoli.org를 사용한채로 export되었다. 내려받은 xml 파일 안의 모든 “wp.dasomoli.org” 혹은 “wp-dasomoli-org” 를 “blog.dasomoli.org”와 “blog-dasomoli-org”로 바꿔주었다.
미디어 라이브러리 복사해두기
미디어 라이브러리도 옮기기 위해 wp-content 안의 uploads/ 디렉토리를 압축해서 이전할 서버로 복사한다.
/var/www/wordpress/wp-content# tar cvfz uploads.tgz uploads
/var/www/wordpress/wp-content# scp uploads.tgz dasomoli@192.168.0.x:/home/dasomoli/
옮긴 미디어 라이브러리의 이전될 서버에서의 DB 등록을 위해서 “Moving Media Library” 플러그인을 설치한 후, 내보내기 후 json파일을 저장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 json 파일 내의 site 경로 수정하기 (optional)
여기서도 역시 json 파일 내부의 모든 “wp.dasomoli.org”를 “blog.dasomoli.org”로 수정한다.
ads.txt 파일 복사하기 (optional)
ads.txt 파일도 있다면 복사해둔다.
/var/www/wordpress# scp ads.txt dasomoli@192.168.0.x:/home/dasomoli/
https 인증서 관련 파일 복사하기
https를 위한 letsencrypt 관련 파일도 압축해서 옮긴다.
/etc# tar cvfz letsencrypt.tgz letsencrypt
/etc# scp letsencrypt.tgz dasomoli@192.168.0.x:/home/dasomoli/
테마 추가 CSS 백업해두기
사용 중인 테마의 추가 CSS가 있다면, 해당 CSS 코드를 어딘가에 복사해두도록 한다: “테마 디자인” > “테마” > “사용자 정의하기” > “추가 CSS”
위젯 백업해두기
사용 중인 위젯들이 있다면, 해당 텍스트나 링크, 코드 등을 어딘가에 복사해두도록 한다: “테마 디자인” > “위젯”의 “Sidebar”
apache2 설정
새로 옮길 서버의 워드 프레스 경로는 이전 서버와 동일하게 “/var/www/wordpress”로 한다. 다음과 같이 이전 서버에서와 동일한 apache2의 site 설정 파일을 작성한다. https를 위한 Rewrite로 시작하는 마지막쯤의 주석 3줄은 지워도 무방하다.
# vi /etc/apache2/sites-available/blog.dasomoli.org.conf
<VirtualHost *:80>
# The ServerName directive sets the request scheme, hostname and port that
# the server uses to identify itself. This is used when creating
# redirection URLs. In the context of virtual hosts, the ServerName
# specifies what hostname must appear in the request's Host: header to
# match this virtual host. For the default virtual host (this file) this
# value is not decisive as it is used as a last resort host regardless.
# However, you must set it for any further virtual host explicitly.
ServerName blog.dasomoli.org
<Directory /var/www/wordpress>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ServerAdmin dasomoli@gmail.com
DocumentRoot /var/www/wordpress
# Available loglevels: trace8, ..., trace1, debug, info, notice, warn,
# error, crit, alert, emerg.
#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loglevel for particular
# modules, e.g.
#LogLevel info ssl:warn
ErrorLog ${APACHE_LOG_DIR}/blog_error.log
CustomLog ${APACHE_LOG_DIR}/blog.access.log combined
# For most configuration files from conf-available/, which are
# enabled or disabled at a global level, it is possible to
# include a line for only one particular virtual host. For example the
# following line enables the CGI configuration for this host only
# after it has been globally disabled with "a2disconf".
#Include conf-available/serve-cgi-bin.conf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SERVER_NAME} =blog.dasomoli.org
#RewriteRule ^ https://%{SERVER_NAME}%{REQUEST_URI} [END,NE,R=permanent]
</VirtualHost>
wordpress 설치
wordpress 내려받아 압축 해제하기
https://wordpress.org/ 에서 최신 버전의 wordpress의 .tar.gz 파일을 내려받아 새로 설치할 사이트의 /var/www/ 아래에서 압축을 해제한다. 현재는 5.4.1이다.
/var/www# tar xvfz wordpress-5.4.1.tar.gz
ads.txt 복사하기
ads.txt를 복사해온다.
/var/www/wordpress# cp ~dasomoli/ads.txt .
wordpress 디렉토리 아래 파일 owner와 권한 설정하기
/var/www/wordpress 디렉토리와 파일의 owner는 apache2를 실행하는 www-data로, 권한은 디렉토리는 755로, 파일은 644로 설정한다.
/var/www# chown -R www-data:www-data wordpress
/var/www# chmod 755 wordpress
/var/www# cd wordpress
/var/www/wordpress# find . -type d -exec chmod 755 {} \;
/var/www/wordpress# find . -type f -exec chmod 644 {} \;
phpmyadmin 설치
기본적으로 https://wordpress.org/support/article/how-to-install-wordpress/ 의 설치 방법을 따른다. 해당 가이드에서처럼 편의를 위해 phpmyadmin를 설치하자. [MySQL] phpmyadmin 설치 글의 절차를 따른다.
# apt-get install phpmyadmin
phpmyadmin은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접속 가능하도록 만들자.
# vi /etc/apache2/conf-enabled/phpmyadmin.conf
아래처럼 Require ip 구문을 추가한다. “::1” 은 local interface, 즉 127.0.0.1과 같다. “192.168.0” 은 192.168.0.x 대역을 말한다.
<Directory /usr/share/phpmyadmin>
Options SymLinksIfOwnerMatch
DirectoryIndex index.php
Require ip 192.168.0
Require ip ::1
apache2를 reload한다.
# systemctl reload apache2
wordpress가 사용할 database와 user 추가 및 설정하기
phpmyadmin은 phpmyadmin에서 database를 추가하기 위해서 root 사용자로 로그인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면, [MySQL] phpmyadmin에서 root 사용자 사용 불가 시 사용자 추가 방법을 참고하자. “wordpress” database와 “wordpress” 사용자를 추가한다. “wordpress” 사용자는 “wordpress” database에 모든 권한을 갖도록 설정한다.
apache2에서 wordpress site enable
apache2의 아까 설정했던 site를 enable한다.
# a2ensite blog.dasomoli.org.conf
워드프레스 설치 페이지 접속해 설치하기
워드프레스 설치 URL wp-admin/install.php (예를 들면, http://blog.dasomoli.org/wp-admin/install.php) 에 접속한다. 설치가 끝나면 wp-config.php가 생성될 것이다. 파일 권한 문제가 있어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 브라우저에 나타난 wp-config.php를 복사해서 쉘에서 생성 후 붙여넣기 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 복구하기
아까 복사해뒀던 미디어 라이브러리 압축 파일(uploads.tgz)를 wp-content/ 아래에서 압축 해제한다.
/var/www/wordpress/wp-content# cp ~dasomoli/uploads.tgz .
/var/www/wordpress/wp-content# tar xvfz uploads.tgz
uploads 디렉토리 역시 owner를 www-data로, 디렉토리는 755, 파일은 644로 권한 설정을 해준다.
/var/www/wordpress/wp-content# chown -R www-data:www-data uploads
/var/www/wordpress/wp-content# find . -type d -exec chmod 755 {} \;
/var/www/wordpress/wp-content# find . -type f -exec chmod 644 {} \;
새로 설치한 워드프레스에 접속해서 “Moving Media Library”를 설치한 후, “가져오기”로 json파일을 선택해 미디어 파일들을 DB에 등록한다.
이제 아까 저장해뒀던 모든 contents의 xml 파일을 가져온다. 모두 잘 보이는지 확인한다.
워드프레스 고유 주소 설정 (optional)
나는 티스토리에서 이전할 때 설정했던대로 사용했던 고유주소를 postname으로 설정할 것이다. “대시보드” > “설정” > “고유주소” > “글 이름”을 선택하여 /%postname%/ 가 되도록 만든다.
.htaccess 만들기 (optional)
나의 경우는 무엇때문인지 .htaccess 파일이 생성이 안되었었는데, 이 경우 직접 만들어서 아래 내용을 붙여 넣어주면 된다.
/var/www/wordpress# vi .htaccess
<IfModule mod_rewrite.c>
RewriteEngine On
RewriteBase /
RewriteRule ^index\.php$ - [L]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f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d
RewriteRule . /index.php [L]
</IfModule>
파일 owner와 권한주는 것을 잊지 말자.
/var/www/wordpress# chown www-data:www-data .htaccess
/var/www/wordpress# chmod 755 .htaccess
https 설정하기
letsencrypt.tgz을 /etc/에 복사한 후 압축을 해제한다.
/etc# cp ~dasomoli/letsencrypt.tgz .
/etc# tar xvfz letsencrypt.tgz
rewrite 모듈을 enable하고, php-imagick를 설치한다.
# a2enmod rewrite
# apt-get install php-imagick
letsencrypt를 위한 certbot을 설치한후, apache 설정을 위해 실행한다. 아래는 라즈베리파이인 경우이다.
# apt-get install python-certbot-apache
# certbot --apache
우분투 22.04의 경우 다음과 같다.
# apt install certbot python3-certbot-apache
# certbot --apache
기존 인증서를 유지하면서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설치한 워드프레스에 접속해서 “설정” > “일반” > “워드프레스 주소 (URL)”와 “사이트 주소 (URL)”을 https:// 로 바꾼다.
테마 재설치하기
기존에 설치했던 테마를 다시 설치한다. 나는 현재 sparkling 테마를 사용하고 있다.
추가 CSS가 있다면, 다시 설정하자: “테마 디자인” > “테마” > “사용자 정의하기” > “추가 CSS” 에 기존 사이트의 추가 CSS를 복사 붙여넣기.
pre {
font-family: 'Nanum Gothic Coding', monospace;
tab-size: 8;
}
.main-content-area {
width: 100%;
margin: 0px;
}
@media (min-width:992px) {
.main-content-inner {
width: 70%;
margin: 0px;
}
.widget-area {
width: 30%;
}
}
위젯 복구하기
아까 백업해두었던 위젯 설정을 다시 설정한다.
[WordPress]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수동 설치/업데이트
ftp 서버로 WordPress가 설치된 디렉토리의 권한을 주기 어려운 경우, 혹은 ssh에 딸린 sftp 외에 ftp 운영을 하고 싶지 않은 경우, 수동으로 플러그인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WordPress plugin을 manual로 설치하려면, wordpress plugin 페이지에서 해당 플러그인의 zip 파일을 받아서 자신의 WordPress 디렉토리에서 wp-content/plugins/ 아래로 복사한 후 압축을 해제하면 된다.
예를 들어, akismet을 수동으로 설치하고 싶다면, https://ko.wordpress.org/plugins/akismet/ 에 접속해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최신 akismet.4.1.6.zip 과 같은 파일을 받아 sftp등으로 wp-content/plugins/ 아래에 업로드 한 후, 쉘에서 압축을 unzip 등으로 풀어주면 된다. 플러그인 zip 파일의 경우 풀면 해당 플러그인 디렉토리 명으로 압축이 해제된다.
이후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한 후, 플러그인을 보면 압축을 푼 플러그인이 보인다. 활성화를 눌러 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