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무선랜 설정 시 볼 만한 문서

웬만한건 드라이버 잡으면

$ sudo iwconfig wlan0 essid GoogleGuest
$ sudo dhclient wlan0


하면 된다.

켰을 때 자동으로 연결 안하길래 아래와 같이 추가해 줬다.
/etc/network/interfaces


auto wlan0
iface wlan0 inet dhcp
        wireless_essid GoogleGuest

 


[Android] Linux에서 adb와 fastboot 사용하기

http://androidforums.com/samsung-i7500/32481-howto-linux-adb-fastboot-mass-storage.html 에서 자세한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요약 정리하면,

Linux 에서 사용할 수 있는 fastboot은 플랫폼 빌드 시에 생성되며, out/host/linux-x86/bin/ 아래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하려는 Linux 머신의 /etc/udev/rules.d/ 경로에 다름 파일들을 생성한다.

50-android.rules

SUBSYSTEM==”usb”, ATTR{idVendor}==”18d1″, MODE=”0666″, OWNER=”<사용할 Machine 상의 USERNAME>”

90-android.rules

SUBSYSTEM==”usb”, ATTR{idVendor}==”04e8″, MODE=”0666″, OWNER=”<사용할 Machine 상의 USERNAME>”

그리고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udev rules을 갱신한다.

reload udev

2014.07.11. SYSFS{idVendor} 를 ATTR{idVendor} 로 변경.

[Linux] Device driver 동시성 관련 함수 – Completion

현재 스레드 외부에다 작업을 시작하도록 지시하고 끝나기를 기다릴 때 사용. 세마포어를 LOCKED 상태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세마포어는 거의 항상 세마포어를 획득할 수 있을 때에 치중하여 최적화되어 왔다. 따라서 이럴 때는 completion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현은 kernel/sched.c 를 참조.

1. completion 초기화
<linux/completion.h>를 포함하여야 한다. 자료 타입은 struct completion.

1.1. Compile time 초기화

DECLARE_COMPLETION(my_completion);
1.2. Runtime 초기화

struct completion my_completion;
/* … */
init_completion(&my completion);

2. 완료 기다리기
인터럽트가 불가능한 대기(죽일 수 없는 프로세스를 만들 수도 있다)를 수행한다. LONG_MAX 만큼 대기.

void wait_for_completion(struct completion *c);
timeout 이 있는 인터럽트가 불가능한 대기. timeout 값을 리턴한다. 따라서 expire 되면 0을, 완료되면 남은 timeout 값(jiffies 값)을 리턴한다.

unsigned long wait_for_completion_timeout(struct completion *x, unsigned long timeout);
인터럽트가 가능한 대기를 수행한다.(추가필요:인터럽트 받으면 바로 리턴?)

int wait_for_completion_interruptible(struct completion *x);
인터럽트가 가능한 대기의 timeout 버전

unsigned long wait_for_completion_interruptible_timeout(struct completion *x, unsigned long timeout);
죽일 수 있는 대기(TASK_WAKEKILL | TASK_UNINTERRUPTIBLE)를 수행한다.(추가 필요:kill받으면 바로 리턴?)

int wait_for_completion_killable(struct completion *x);
Blocking 없는 wait_for_completion. complete 되지 않았으면 바로 0을 리턴한다.

bool try_wait_for_completion(struct completion *x);

3. 완료 이벤트 알리기
completion을 기다리는 스레드(waiter)가 있는지 확인한다. waiter가 있으면(wait_for_completion()이 진행 중이면) 0을, 없으면 1을 리턴한다.

bool completion_done(completion *x);
대기 중인 스레드 하나만 깨우기
void complete(struct completion *c);
모든 스레드 깨우기

void complete_all(struct completion *c);

4. 재사용을 위해 다시 초기화하기

INIT_COMPLETION(struct completion c);

5. 모듈 종료 함수에서 종료 후 완료를 기다리리고 알릴 때(나중에 추가하기:이 함수 없어졌나?)

void complete_and_exit(struct completion *c, long retval);

[Linux] Device driver 동시성 관련 함수 – Semaphore & Mutex

동시성 관련 함수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정리하고 가자. Linux device driver 3판, 5장. “동시성과 경쟁 상태” 를 기준으로 정리한다.

공유 자원 접근을 위한 Lock 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사용한다.

1. 세마포어와 뮤텍스
Critical Section을 정의하기 위해서 세마포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P와 V 함수 쌍을 사용하는데, linux 에서는 P함수는 “down”, V 함수를 “up”이라 부른다. 단일 세마포어(공유 자원 개수를 1개로 정의)로 사용할 때 뮤텍스(Mutual Exclusion)라 부른다.

1.1. 세마포어 초기화
<asm/semaphore.h> 를 포함하여야 한다. 관련 Type은 struct semaphore.
1.1.1. 세마포어로 사용할 때 초기화


void sema_init(struct semaphore *sem, int val);

val 은 세마포어에 할당할 초기값.

1.1.2. Mutex로 사용할 때 초기화
정적 초기화


DECLARE_MUTEX(name); // 1로 초기화.
DECLARE_MUTEX_LOCKED(name); // 0으로 초기화.

실행 중 초기화


void init_MUTEX(struct semaphore *sem); // 1로 초기화.
void init_MUTEX_LOCKED(struct semaphore *sem); // 0으로 초기화


1.2. 세마포어 획득하기
세마포어 값을 감소시키고 필요한 만큼 기다린다.


void down(struct semaphore *sem);


세마포어 값을 감소시키고 필요한 만큼 기다리지만, 인터럽트 가능하다. 인터럽트를 받으면 0이 아닌 값을 반환하고, 세마포어를 쥐고 있지 않는다. 때문에 항상 반환값을 확인하여야 한다.


int down_interuptible(struct semaphore *sem);


세마포어를 획득할 수 없다면 바로 0이 아닌 값을 반환한다.


int down_ttylock(struct semaphore *sem);


1.3. 세마포어 반환


void up(struct semaphore *sem);

2. 읽기/쓰기 세마포어
읽기만 수행하는 스레드라면 여럿이 함께 접근해도 된다. 이럴 때 rwsem 이라는 특수 세마포어를 이용한다.
rwsem 을 사용하면 쓰기 스레드 하나가 잡고 있던가 읽기 스레드 여럿이 잡고 있던가 둘 중에 하나가 되는데 우선순위는 쓰기 스레드에게 있다. 쓰기 스레드가 임계구역에 접근하는 순간, 읽기 스레드는 모든 쓰기 스레드가 작업을 끝낼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쓰기 스레드가 많을 경우 읽기 스레드가 오랫동안 접근 권한을 얻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쓰기 접근이 매우 드물고, 짧은 시간 동안에만 필요한 경우에 적당하다.

2.1. 읽기/쓰기 세마포어 초기화
<linux/resem.h> 를 포함하여야 한다. 관련 타입은 struct rw_semaphore. 런타임에 명시적으로 초기화되어야 한다.


void init_rwsem(struct rw_semaphore *sem);

2.2. 읽기 전용 세마포어 사용
읽기 전용 접근 권한을 제공한다. 다른 읽기 스레드와 동시 참조가 가능하다. 호출 프로세스를 D 상태(인터럽트가 불가능한 잠자기 상태)로 빠뜨릴 수 있다는 사실에 주의한다.


void_down_read(struct rw_semaphore *sem);

읽기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기다리지 않는다. 접근이 가능하다면 0 이 아닌 값을, 이외에는 0을 반환한다. 다른 커널 함수는 대부분 성공일 때 0을 반환하지만 down_read_ttylock은 반대다.


int down_read_ttylock(struct rw_semaphore *sem);

읽기 전용 세마포어 해제


void up_read(struct rw_semaphore *sem);


2.2. 쓰기 전용 세마포어 사용
down_read 와 동일


void down_write(struct rw_semaphore *sem);

down_read_ttylock 과 동일


int down_write(struct rw_semaphore *sem);

up_read 와 동일


void up_write(struct rw_semaphore *sem);

잠시만 쓰기 락을 걸어 수정하고 한동안은 읽기 권한만 필요하다면


void downgrade_write(struct rw_semaphore *sem);

 

[Linux] 디렉토리 안의 모든 파일들을 일일이 링크 걸기 위한 방법

디렉토리 안의 모든 파일들을 일일이 심볼릭 링크를 걸고 싶을 때 Perl을 이용해서 하는 방법이다.(절대 경로를 준다면 cp -sR 옵션으로 줄 수도 있지만..)

다음을 link.pl 등의 이름으로 저장한다.

use File::Find;
$src = shift; # first arg is source
$dst = shift; # second arg is dest
                find(sub {
                                                (my $rel_name = $File::Find::name)
                                                =~ s!.*/\./!!s;
                                                my $src_name = “$src/$rel_name”;
                                                my $dst_name = “$dst/$rel_name”;
                                                if (-d) {
                                                print “mkdir $dst_name\n”;
                                                mkdir $dst_name, 0777
                                                or warn “mkdir $dst_name: $!”;
                                                } else {
                                                print “ln -s $src_name $dst_name\n”;
                                                symlink $src_name, $dst_name
                                                or warn “symlink $src_name $dst_name: $!”;
                                                }
                                                }, “$src/./”);

perl link.pl <SRC PATH> <DST PATH> 로 한다.
<DST PATH> 는 mkdir로 만들어 놓고 해야 한다.

Linux Kernel Reference Site

커널에 관련해서 소스를 뒤지거나 Kernel Tree 안의 Documents들을 참조하는 일이 잦아졌다. 내 피씨(의 하드디스크)가 매우 느린 관계로 I/O 부하를 좀 줄이고자 웹사이트를 자주 뒤지는 편이다. 다음 두 개가 좀 편하다. 다른 건 나중에 추가!

Kernel Source : http://lxr.linux.no
Kernel Documents : http://www.mjmwired.net/kernel/Documentation/




Kernel의 Booting Parameter 넘기는 부분을 알고 싶어서 본 글



register_chrdrv()를 리눅스 커널 2.6 버전용으로 바꾸기

Linux Device Driver 중 Character device 의 코드를 보면 기존의 2.6 기준으로 수정되지 않은 코드들은 register_chrdrv() 함수를 사용하여 Character device를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register_chrdrv 함수의 원형은 다음과 같다.

int register_chrdev(unsigned int major, const char *name,
      const struct file_operations *fops)

그러나 2.6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들은 이와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 register_chrdrv를 사용하는 방식은 Linux device driver 개정 3판을 보면 3장의 “예전 방식”이라는 부분에서 이를 다룬다. 예전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작성하려면 register_chrdev 대신 register_chrdrv_region/alloc_chrdev_region 과 cdev_init, cdev_add 로 작성하면 된다.

register_chrdrv_region 함수는 원하는 디바이스의 번호를 미리 알고 있을 때 사용하고, alloc_chrdev_region 함수는 디바이스의 번호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파라미터로 받는 dev_t 구조체 포인터를 이용해 dev_t 구조체에 넣는다.
register_chrdrv 대신 register_chrdrv_region을 사용하는 것으로 혼동할 수 있는데 그게 아닌 cdev_add 함수까지 사용하여야 한다. 실제 커널 소스의 register_chrdrv 함수를 보면 이런 과정이 구현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cdev_add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truct cdev 구조체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구조체를 초기화 시켜주는 함수가 cdev_init 이다. struct cdev 구조체 등을 사용하려면 <linux/cdev.h> 를 include하여야 한다. 다음은 사용 예이다.

#include <linux/kernel.h>
#include <linux/cdev.h>
#include <linux/fs.h>


struct file_operations dasom_fops;


static struct cdev dasom_cdev = {
    .owner = THIS_MODULE,
    .ops = &dasom_fops,

};


int _init dasom_init(void)
{
    dev_t dev;
    int err = 0;


    if(major) {
        dev = MKDEV(major, minor);
        err = register_chrdev_region(dev, 1, “dasomoli”);
    } else {
        err = alloc_chrdev_region(&dev, mior, 1, “dasomoli”);
        major = MAJOR(dev); 
    }
    if(err < 0) {
        err = -ENODEV;
        return err;
    }

    …
   
    cdev_init(&dasom_cdev, &dasom_fops);
    dasom_cdev.owner = THIS_MODULE;
    dasom_cdev.ops  = &dasom_fops;


    if(cdev_add(&dasom_cdev, dev, 1)) {
        printk(KERN_INFO”dasom: cdev creation failed.\n”);
        err = -ENODEV;
        goto error_label;
    }
   
    …
   
    return 0;
   
error_label:
    return err;
}

 

Linux Kernel 의 Memory barrier 구현

Linux Kernel의 프로세스 상태 변경 매크로(set_task_state, set_current_state)를 살펴보다가 ARM 아키텍처에서 다음과 같이 구현된 것을 보았다.

include/linux/sched.h

#define set_task_state(tsk, state_value)        \
    set_mb((tsk)->state, (state_value))
#define set_current_state(state_value)        \
    set_mb(current->state, (state_value))

set_mb 매크로는 시스템마다 다르게 구현되어 있는데 ARM 쪽을 따라가보면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다.

arch/arm/include/asm/system.h

#define dmb() __asm__ __volatile__ (“” : : : “memory”)

#define smp_mb()    dmb()

#define set_mb(var, value)    do { var = value; smp_mb(); } while (0)

do-while-0 구문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고하도록 하고, memory barrier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고하라. dmb() 의 inline assembly의 구조와 설명은 이 글을 참고하자.

참고된 글을 정리하자면, 명령이 R, W, R, W, R, W 순으로 사용된다면, 이를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적으로 R, R, R, W, W, W 순으로 배열하는 등의 최적화를 할 수 있는데, 이 때 명령의 순서를 보장해 주는 역할로써 Memory barrier 라는 것을 구현해서 사용한다.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혹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데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CPU 자체의 명령으로 구현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때 위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위 구문은 gcc inline assembly의 확장으로 clobber list에 “memory”를 적어넣어 해당 명령(“” – 아무 명령도 수행하지 않음)을 수행한 후에 변경되는 것이 메모리 타입 저장장치(모든 레지스터, 모든 플래그, 모든 메모리)임을 나타낸다. gcc는 이럴경우 __asm__ __volatile__(“”: : :”memory”) 경계를 넘어가는 최적화 또는 instruction scheduling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__asm__ __volatile__(“”: : :”memory”)를 사용하면 이전 코드의 수행 완료를 보장할 수 있고 이후 코드가 __asm__ __volatile__(“”: : :”memory”) 이전에 수행되는것을 방지 할수 있다. 별개로 volatile의 경우 읽기 연산에서 메모리에서 한번 읽어온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닌 사용할 때마다 메모리 참조를 통해 가져오도록 한다.

makefile 견본

makefile 견본

.SUFFIXES : .c .o

CC = gcc

INC =
LIBS =
CFLAGS = -g $(INC)

OBJS = tbl.o
SRCS = tbl.c

TARGET = table

all : $(TARGET)

$(TARGET) : $(OBJS)
    $(CC) -o $@ $(OBJS) $(LIBS)

dep :
    gccmakedep $(INC) $(SRCS)

clean :
    rm -rf $(OBJS) $(TARGET) core

new :
    $(MAKE) clean
    $(MAKE)

자주 쓰는데도 항상 까먹는  makefile!-_-/

PROGNAME = calctest
SRCS = $(wildcard *.c)
OBJS = $(patsubst %.c, %.o, $(SRCS))

CC = gcc
CFLAGS = -Wall
LDFLAGS =

$(PROGNAME): $(OBJS)
    $(CC) $(LDFLAGS) -o $PROGNAME $^

clean:
    rm -f $(PROGNAME) $(OBJS) depend

depend: $(SRCS)
    $(CC) $(CFLAGS) -MM $^ > $@

-include depend

참고 : http://www.viper.pe.kr/docs/make-ko/make-ko_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