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도 한다. 자동 checkpatch!

작년 8월부터 10월에 “개발 환경 개선 Git + Gerrit + checkpatch + cleanpatch” 에서 이야기했던대로
회사에서는 아무도 나에게 이런 것을 하라고 한 적은 없지만,

1. Gerrit 시스템 상에서 리눅스 커널에 대한 Change는 자동으로 checkpatch.pl 를 실행해서 해당 결과를 자동으로 comment하고, Error 나 Warning이 있는 경우 해당 패치셋에 -1로 리뷰 점수를 부여하고,
2. White space error, 소스 코드, Kconfig, Makefile 등의 파일의 Execution 권한 에러 등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수정해서 새로운 Patch set으로 올려주는

시스템을 구현해서 도입했다(나중에 연말 임원 회의 때 “우리 부서의 자랑” 같은 발표를 하려고 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했나?).

그런데 올해 2월 초부터 구글의 gerrit 시스템에도 비슷한 것이 보이기 시작했다. “Kernel code style” 이라는 사용자 이름으로 checkpatch 결과가 붙기 시작한 거다. 내가 구현한 위의 것에서는 1단계까지의 것으로 보인다. 보자마자 ‘어라? 이것들 나랑 비슷한거 만들었네?’ 란 생각에 흥미로움을 감출 수 없었다. 더 재밌는 건 내 스크립트가 comment 하는 형식과 구글의 comment 형식이 거의 같다는 거다. 난 너무 많으면 길어서 내용을 좀 자르긴 했다. 도입 초기에는 에러가 3만개, 6만개씩 있는 패치들도 있었으니까! ㅎㅎㅎㅎ

그래서 찾아보니 구글의 커널 개발자 Brian Swetland 가 2009년 9월에 이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이슈를 올렸었고, 2010년 2월에 hooks 를 이용할 수 있다는 답변으로 closed 되었다. 답변으로 달린 방법이 거의 정확히 1단계를 위해 내가 구현한 방법과 일치하는데, 구글 내부 gerrit 에서도 사용했었는지는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런데 Nexus S때도, Galaxy Nexus 때도 2월 이전에는 쓴 적이 없단 말이지… ㅎㅎㅎ

동작하는 방식을 조금 보니 아마 커널 Change를 올리는 개발자 그룹이 있어서 해당 그룹에 속한 개발자가 Change를 올리면 checkpatch로 체크를 하는 것 같다.

이글을 쓰다가 TI 커널 브랜치에서부터 시작이 된 것 같아서 찾아보니 TI Gerrit(http://review.omapzoom.org/)은 2011년 7월부터 Ruslan Bilovol 이란 개발자가 자기 Bot을 사용해서 Change-Id check와 checkpatch를 자동으로 돌리는 것을 시작했었다! 난 작년 7월에 산호세에 있었고 7월 말부터 이 일을 맡아서 시작했었으니! 오! 세계 최초라 한 것이 부끄럽구나! …근데 자동으로 고쳐서 올려주는 건 아직 나밖에 안했잖아???? ㅎㅎㅎㅎ

아무튼 내가 생각한 것과 비슷한 생각들, 그리고 비슷한 구현물들을 세계 이곳저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게 너무나도 재밌다!!!

p.s.: 나한테 더 성능좋은 PC, 서버들이 더 많이 주어진다면, 아마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을텐데…
 

TI OMAP의 Android 관련 페이지 모음

일단 TI의 오픈소스 git repository는 http://git.omapzoom.org/ 이다.
OMAP의 Android 관련 메인 위키 페이지는 http://omappedia.org/wiki/OMAP_Android_Main 이며, 소스를 얻는 것에 대해서는 http://omappedia.org/wiki/Android_source_code_versions 에 설명되어 있다.
또한 플랫폼 쪽의 manifest.xml 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젝트는 git://git.omapzoom.org/platform/omapmanifest.git 으로 보인다.
리눅스 상에서 adb 사용에 관한 문서는 http://omappedia.org/wiki/Adb_over_USB 에서 볼 수 있고, 리눅스 및 윈도우즈 상에서의 adb 사용(Blaze 기준)은 http://omappedia.org/wiki/Support_Tools#ADB_over_USB 에서도 볼 수 있다.
툴체인은 http://omappedia.org/wiki/Android:_Configuring_the_Host_PC#ARM_Cross_Compiler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Code Sourcery의 툴체인을 권장하며 L27x 등 최신 버전은 2010-q1 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쓰여져 있다.
방화벽 아래에서의 작업은 http://omappedia.org/wiki/Support_Tools#Firewalls 에서 해결 방법을 볼 수 있다. 해당 해결 방법은 GIT_PROXY_COMMAND 환경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git의 core.gitproxy 설정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또한 SSH 의 Proxy 를 .ssh/config 파일에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http://omappedia.org/wiki/Gerrit#SSH_Proxy_Setup: 에 나와 있다. 둘다 corkscrew를 이용한다.

Ducati를 사용하는데 사용되는 Syslink에 대해서는 http://omappedia.org/wiki/Syslink_Project 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현재 Syslink 3(http://omappedia.org/wiki/Syslink_3)로 이행 중인 듯하다. Syslink3 는 Kernel space에서 수행되는 것들을 User space로 옮겨 Linux kernel 에 upstream이 되기 힘든 단점을 극복하려는 듯 하다.
XDCtools 는 http://software-dl.ti.com/dsps/dsps_public_sw/sdo_sb/targetcontent/rtsc/index.html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CodeGen tool과 BIOS 등 모든 툴은 TI Account가 있어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듯 하다.

Ducati 에 대한 정보는 http://omappedia.org/wiki/Ducati_For_Dummies 에서 얻을 수 있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