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cron-apt로 패키지 자동 업데이트 하기

cron-apt를 설치하면 오전 4시에 알아서 패키지 업데이트를 해준다.

sudo apt-get install cron-apt

/etc/cron.d/cron-apt 파일 안에서 시간 설정을 바꿀 수 있다. 나는 오전 5시로 바꿨다.

root@bamtol:/etc/cron.d# cat /etc/cron.d/cron-apt
#
# Regular cron jobs for the cron-apt package
#
# Every night at 5 o'clock.
0 5	* * *	root	test -x /usr/sbin/cron-apt && /usr/sbin/cron-apt
# Every hour.
# 0 *	* * *	root	test -x /usr/sbin/cron-apt && /usr/sbin/cron-apt /etc/cron-apt/config2
# Every five minutes.
# */5 *	* * *	root	test -x /usr/sbin/cron-apt && /usr/sbin/cron-apt /etc/cron-apt/config2

참고: https://help.ubuntu.com/community/AutoWeeklyUpdateHowTo

[WordPress] 워드프레스 이전 후 카테고리와 댓글 수 이상 문제 해결 방법

워드프레스를 이전하고 나서, 카테고리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거나, 카테고리 내의 글 갯수가 이상하게 표시되는 경우, 댓글이 이상한 경우 등이 있다.

https://www.wpbeginner.com/wp-tutorials/how-to-fix-category-and-comment-count-after-wordpress-import/ 의 방법을 따르면 된다.

요약하면 UpdraftPlus를 이용해서 사이트 백업 후, 다음 파일을 wordpress 디렉토리 내부에 comments-fix.php로 저장한 후 이를 브라우저에서 로딩해서 실행한다. 내부의 DB_HOST, DB_USER, DB_PASSWORD, DB_NAME 등을 바꾼다. 나의 경우, “localhost”, “dasomoli”, “PASSWORD”, “wordpress” 로 바꿔주었다.

<?php
include("wp-config.php");
$myConnection = mysqli_connect(DB_HOST, DB_USER, DB_PASSWORD);
if (!mysqli_connect(DB_HOST, DB_USER, DB_PASSWORD)) {  die('Could not connect: ' . mysqli_error());  }
if (!mysqli_select_db($myConnection, DB_NAME)) {  die('Could not connect: ' . mysqli_error());  }
  
$result = mysqli_query($myConnection, "SELECT term_taxonomy_id FROM ".$table_prefix."term_taxonomy");
while ($row = mysqli_fetch_array($result)) {
  $term_taxonomy_id = $row['term_taxonomy_id'];
  echo "term_taxonomy_id: ".$term_taxonomy_id." count = ";
  $countresult = mysqli_query($myConnection, "SELECT count(*) FROM ".$table_prefix."term_relationships WHERE term_taxonomy_id = '$term_taxonomy_id'");
  $countarray = mysqli_fetch_array($countresult);
  $count = $countarray[0];
  echo $count."<br />";
 mysqli_query($myConnection, "UPDATE ".$table_prefix."term_taxonomy SET count = '$count' WHERE term_taxonomy_id = '$term_taxonomy_id'");
        }
  
$result = mysqli_query($myConnection, "SELECT ID FROM ".$table_prefix."posts");
while ($row = mysqli_fetch_array($result)) {
  $post_id = $row['ID'];
  echo "post_id: ".$post_id." count = ";
  $countresult = mysqli_query($myConnection, "SELECT count(*) FROM ".$table_prefix."comments WHERE comment_post_ID = '$post_id' AND comment_approved = 1");
  $countarray = mysqli_fetch_array($countresult);
  $count = $countarray[0];
  echo $count."<br />";
  mysqli_query($myConnection, "UPDATE ".$table_prefix."posts SET comment_count = '$count' WHERE ID = '$post_id'");
        }
?>

dd로 disk 전체 백업하기

$ sudo apt-get install ntfs-3g
$ sudo fdisk -l
$ sudo mkdir /mnt/sdb5 && sudo mount.ntfs-3g /dev/sdb5 /mnt/sdb5
$ sudo dd if=/dev/sdc of=/mnt/sdb5/IMAGE_NAME_HERE.img bs=64K status=progress

미니 PC를 하나 샀다. SATA M.2 SSD 안에 Windows 10 Pro 정품이 깔려 있다. 이미지로 만들어서 백업하고 우분투 깔아야겠다.

[Mac] 여러 사용자로 Homebrew 사용하기

https://www.codejam.info/2021/11/homebrew-multi-user.html 에서 설명하는 바로는 multi user 로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한다. 한 사용자로 통일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나는 첫번째 사용자로 dasomoli를 사용하므로 이에 맞춰서 설정하였다. alias 설정을 다음처럼 한다.

~/.zshrc 아래의 plugins 에 brew를 추가한다.

plugins=(
        git
        brew
)

그리고 ~/.zshrc 가장 아래에 alias를 추가한다.

alias brew='sudo -Hu dasomoli brew'

[WordPress] json 파일을 업로드하고 싶을 때

아래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된다.

설치 후 “설정” 메뉴에 보면, “MIME 유형 설정”이 생긴다.

그 후 아래처럼 “json = application/json”을 추가한 후 “저장” 하면 된다. “보안 옵션”도 켰다.

[Windows 10] Sandbox 켜기

  1.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선택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선택

2. “Windows 샌드박스”에 체크 후 “확인”

Windows 샌드박스를 체크

3. 다시 시작